지리산은 두류산(頭流, 頭留山)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의 큰 산줄기(백두대간)에 형성된 명산들이 모두 북쪽의 백두산을 조산(祖山)으로 하여
그 줄기가 남으로 흘러(南流)와 지리산에서 멎는다는 우리 민족 고유이 전통적 산 사상이 담겨 있는듯하다.
그동안 받아오던 국립공원 입장료(1,600원,사찰포함 3,200원)가 어제부터 폐지 되었다.
제석봉( 1808m) 고사목 군락지에 얽힌 내력을 써 놓은 안내판, 2005년 6월에 갔을 때만 해도
"30년 전에는 숲이 울창하여 대낮에도 어두울 정도의 ... "라고 쓰여있더니 이번에 보니 "50년 전..."으로 바뀌어 있다.
천왕봉(1915m)
1700m 고지인 개선분부터 구름이 모여들더니, 1900m 정상에서 모두 가려놓고 보여주기를 거부.
산청군 시천면 사람들과 함양군 마천면 사람들이 물물교환과 물건을 사고팔던 곳에서 유래되었다는 장터목.
서울에서 04:30 출발하여 당일 산행.
겨울 채비로 중무장을 하고 갔건만 생각과 달리 날씨가 얼마나 포근 하던지...땀께나 흘린 날이다.
파이 서비스가 종료되어
더이상 콘텐츠를 노출 할 수 없습니다.
인사 올립니다.
'백두대간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리산 다시걷기3 (거림-세석대피소~화개재-뱀사골-반선주차장) (0) | 2007.01.30 |
---|---|
지리산 다시걷기2 (중산리-장터목 대피소~세석-거림) (0) | 2007.01.16 |
백두대간 54회(37-2구간, 대관령~능경봉~고루포기산~닭목재) (0) | 2006.12.19 |
백두대간 53회(38구간,대관령~선자령~곤신봉~매봉~소황병산~노인봉~진고개) (0) | 2006.12.05 |
백두대간 52회(39-2구간, 구룡령~약수산~마늘봉~응복산~신배령) (0) | 2006.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