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text/html; charset=iso-8859-1" hidden=true width=38 src=http://kowon.dongseo.ac.kr/~seewhy/Lyrics/Asf/SomewhereMyLove.asf showstatusbar="0" autostart="true" loop="-1" volume="0" x-x-allowscriptaccess="never">.
감독 : 데이비드 린
출연: 오마 샤맆, 제랄딘 채플린, 시오반 맥켄나, 줄리 크리스티, 알렉 기네스,
8세의 나이에 고아가 된 유리 지바고(Yuri : 오마 샤리프 분)는
그로메코가(家)에 입양되어 성장한다. 그는 1912년 어느 겨울 밤, 크렘린 궁성
앞에서 노동자들과 학생들이 기마병에게 살해되는 것을 보고 큰 충격을 받는다.
이후 그는 사회의 여러 뒷면들을 접하게 되고, 의학을 공부해 빈곤한 사람들을
돕고자 꿈꾼다. 그는 그로메코가의 고명딸 토냐(Tonya : 제랄린 채플린 분)와
장래를 약속하면서 열심히 의학실습에 몰두하는데
운명의 여인 라라(Lara : 줄리 크리스티 분)와 마주친다.
그녀는 어머니의 정부 코마로프스키(Komarovsky : 로드 스테이거 분)에게
정조를 빼앗기자 사교계의 크리스마스 무도회장에서 코마로프스키에게 방아쇠를
당겨 총상을 입힌다. 유리는 다시 한번 이 여인에게 호기심을 느낀다.
그러나 搾璨“都?혁명가 파샤(Pasha/Strelnikov : 톰 카우트네이 분)라는
연인이 있었다. 1914년 1차대전이 일어나고 군의관으로 참전한 그는
우연히 종군간호부로 변신한 라라와 반갑게 해후한다.
1917년 혁명정부가 수립된 러시아에서 유리와 같은 지식인은
제일 먼저 숙청될 대상이었다. 그래서 그는 우랄 산맥의 오지 바리끼노로 숨어든다.
궁핍하지만 평화가 감도는 전원 생활을 보내다
적적함을 달래기 위해 시내 도서관을 찾은 그는 우연히 그 근처로 이주해온 라라와
다시 운명적으로 만나게 되는데...
줄거리 참조
소설은 어린 소년 유리 지바고의 어머니 장례식으로부터 시작된다.
부유층에 속했던 소년의 가문은 낭비벽이 심한 난봉꾼인 아버지 때문에 몰락하고,
소년 혼자서 어머니의 죽음을 맞는다. 후에 부친마저 기차에서 투신자살 한다.
이후 소년은 외삼촌의 도움으로 모스크바의 지식인 가문 그로메꼬의 집에서 양육된다.
좋은 집안에서 예민한 감수성과 풍부한 창의력을 갖춘 청년으로 자라난 그는
대학에 진학하여 의학을 전공한다.
한편 여주인공 라라는 지바고와는 전혀 다른 환경에서 성장한다.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고
시베리아에서 모스크바로 이사 온 그녀 가족의 생계가 막막해지자 어머니는 부유하고 처세에 능한
꼬마로프스끼(komarovski)라는 변호사의 도움으로 그의 보호와 지배를 받는다.
이런 가정환경에서 라라는 점차 민중의 삶에 접근하게 된다.
자신의 힘으로 인생을 개척해야 한다는 것을 일찍 깨닫기는 하나 순진하기만 했던 라라는
곧 꼬마로프스끼의 마수에 걸려들어 그의 성적인 노리개가 된다.
몇 년 후 지바고를 양육하던 안나 그로메꼬는 임종시에 자신의 딸인 또냐를 지바고에게 부탁한다.
성숙한 라라는 학교을 졸업하고 꼬마로프스끼와의 관계를 청산한 뒤,
진보적인 철도직원의 아들인 빠벨 안지뽀프를 만나 사랑하게 되고,
그를 위해 헌신적으로 일하며 대학까지 교육시킨다. 또냐와 결혼한 유리 지바고는 아들을 낳지만,
아들의 얼굴을 못 본채 군의관으로 제1차 세계대전의 전쟁터로 떠난다.
한편 라라와 빠벨은 결혼하여 시베리아의 유리아띤에 정착하지만,
빠벨은 가정적으로 아내의 과거로 인해 정신적인 고통을 끝내 참지 못하고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탈출하기 위해 자원하여 군에 입대한다. 전선에서 빠벨은 독일군의 포로가 되고,
라라는 아무 소식 없는 그를 찾아 간호원으로 자원하여 전선으로 향한다.
지바고도 전선에서 군의관을 일하던 중 라라와 운명적으로 다시 만나게 된다.
이들은 간호원과 의사로 같이 일하며 서로의 인생 경험을 나누고 인간적으로도 가까워진다.
전쟁이 끝나자 각각 자신의 고향으로 돌아가지만, 혁명 전야의 모스크바에는 기아 사태가 발생하고
전염병이 돌고 있었다. 지바고는 티푸스를 심하게 앓고 난 후,
점차 어려워진 생활고와 지주출신 성분 때문에 모스크바에서 살 수 없게 되자,
가족과 함께 바르이끼노로 떠난다. 그곳으로 가는 동안에 지바고와 가족은 격변의 시대에 떠밀려
예상치 못한 인생길을 걷게 되는 다양한 사람들과 만나고,
혁명과 내전으로 황폐화된 농촌의 풍경을 보게 된다. 정착 생활 중 어는 봄날,
지바고는 바르이끼노 근처 유리아띤의 도서관에서 라라를 우연히 만나게 된다.
이 사건을 계기로 두 사람은 인간적으로 더욱 가까워질 뿐 아니라
더 나아가 불륜의 관계까지 맺게된다.
지바고는 아내 또냐를 생각할 때 자신의 행동을 용납할 수 없으나
라라를 사랑하는 마음을 억제할 수도 없다. 이런 갈등에서 집으로 돌아오던 중에
그는 시베리아의 빨치산에 의해 납치를 당한다.
빨치산 부대에 잡혀있는 동안 의사 지바고는 내전의 참상을 목격한다.
그는 동족상잔의 비극에 대해서 깊이 생각하게 되며 더욱 혁명적인 교리와 혁명자체의
무의미함에 대해 뼈저리게 깨닫는다. 그러던 어느 날 빨치산 부대가 겨울을 나던 숲으로부터 탈출한다.
유리 지바고는 유리아띤으로 돌아오지만, 이미 그곳에는 라라도 또냐도 없다.
단지 가족이 해외망명를 준비하고 있다는 소식을 우연히 전해 듣게 될 뿐이다.
그러다 그를 찾아 바르이끼노에 갔다가 돌아온 라라는 오랜 여행에 지쳐 쓰러진 그를 발견하고 돌본다.
지바고는 건강을 회복한 후 라라와 잠시나마 평화로운 생활을 보낸다.
그러나 점차 사회는 유산계급 숙청의 물결에 휩쓸리게 되고, 지식인이며 부르조아 출신인 지바고도,
그리고 라라의 남편 빠벨도 숙청되어 쫓기게 되자 라라의 생명이 위태로워진다.
지바고는 결국 라라와 그녀의 딸 까쨔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그들을 속여 꼬마로프스키와 함께
떠나보낸다. 그리고 자신은 바르이끼노에 남는다.
라라가 떠난 후 지바고는 절망에 빠진 채 다시 작품 활동에 몰입하며 슬픔을 달랜다.
사람들로부터 천대를 받으면서 근근히 살아가던 그는 거리에서
우연히 이복형제 예브그라프를 만나게 되고, 예브르라프는 그가 집필 활동을 재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준다. 그러던 어느 날 그는 전차를 타고 가다가 갑자기 심장마비로 사망한다.
한편 라라는 몽고를 통해 유럽으로 탈출하는데 실패하고,
다시 모스크바로 돌아와 유리와의 사이에서 낳은 딸을 찾던 중 우연히
빠벨이 학창시절에 살았던 방에 들른다. 그리고 그곳에서 그녀는 지바고의 관을 발견하게 된다.
라라는 유리 지바고의 시신 앞에서 깊은 회한의 눈물을 흘린다.
그녀는 예브르라프에게 잃어버린 딸을 찾아 줄 것을 간곡히 부탁하고,
예브그라프는 그렇게 하겠다고 약속한다. 며칠 후 그녀는 모스크바의 군중 속에서 자취를 감춘다.
작가는 그녀가 체포되어 수용소에서 인생을 마쳤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줄거리에서 보듯이 주인공인 유리 지바고와 라라의 만남 자체는 완전히 우연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런 우연들이 자꾸 반복되어 감에 따라 그것이 필연에 의한 것임을 느끼게 된다.
이런 필연성은 개인의 삶에 개입하는 초월적인 힘의 작용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어짜피 개인들의 삶과 운명이 초월적인 세계와 관련되어 있는 것이라면,
인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일상에서 일어나는 작은 일들일 것이다.
유리 지바고는 “삶 자체는 끊임없이 자신을 갱신 시키고 영원히 변화하는 근원적인 것”이라고 선언한다.
이 소설 속에서 삶이 변화하는 모습은 숲에 비유된다. 계절에 따라 끊임없이 변해가는 숲처럼
그 일상이 삶 자체라고 보는 것이다. 숲이 그러하듯 각 인생의 집합으로서의 역사 또한
보이지 않는 가운데 변화하는 하나의 생명체이다.
그러한 생명의 법칙이 각 개인의 삶, 역사, 자연을 지배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서 삶은 계속적으로 부활하고 있다고 유리 지바고는 생각한다.
주인공 유리 지바고는 삶은 개조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혁명가들의 교조주의에 대항하여,
인생이란 개조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라, 신비한 생명의 법치게 따라 살아가는 주체라는 사상을
전개한다. 작품 속에서는 주인공과 수많은 등장인물들의 만남이 모두 우연히 이루어지고,
사건들이 동시에 발생하여 주인공들이 삶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인생들이 개별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상호 연관되어 있다는 사상을 전달하고 있다.
---<< 퍼 옮 >>---
1958년 파스테르나크 노벨상 수상
‘창에 성에가 껴서 보다 더 넓은 세계를 볼 수 없을 때/절망에서 오는 슬픔은 차라리 죽음보다 더하다….’
보리스 파스테르나크의 ‘닥터 지바고’는 혁명의 격랑(激浪) 속에서
비극적인 운명과 사랑을 껴안아야 했던 러시아 인텔리의 초상이자 작가 자신의 자화상이다.
1934년 소비에트 작가동맹이 결성되고 창작에서도 사회주의 원칙이 선언되자
긴 침묵에 들어갔던 파스테르나크. 그러나 그는 ‘라라’의 실존인물인 올가 이빈스카야를 만나면서
‘닥터 지바고’의 집필에 몰두하게 되는데, 작품이 먼저 해외에 소개되면서
냉전의 거센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된다.
1958년 10월 23일 노벨문학상을 수상하게 된 것이다.
그의 노벨상 수상은 문단을 들끓게 했다. 그것은 소비에트의 예술과 문학에 대한 서방세계의 ‘테러’였다.
작가동맹은 그를 제명했고, 그를 국외로 추방하라는 탄핵운동이 곳곳에서 일어났다.
그는 어쩔 수 없이 수상을 거부하게 된다. 그리고 ‘유명해진다는 것은 추한 것이다’라는 시에
‘무명(無明)에 잠기거나/무명에 자기의 발걸음을 숨겨야 한다’고 회한을 옮겼다.
‘스탈린의 망령’은 파스테르나크의 예술뿐 아니라 사랑에까지 독수(毒手)를 뻗쳤다.
그는 1960년 암으로 죽어가면서도 올가의 안부를 걱정했으나
정작 그녀는 ‘당국과의 관계’를 유지하며 그의 동향을 내내 지켜보고 있었던 것이다.
그녀는 소설 속의 ‘라라’가 아니었다.
올가는 그가 죽은 뒤 시베리아에 유폐되자 니키타 흐루시초프에게 석방을 탄원하며 이렇게 썼다.
“나는 파스테르나크를 침묵시키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그가 외국인과 만나지 못하게 하라는 당국의 지시에 충실히 따랐습니다.”
시(詩)는 ‘하나의 나뭇잎을 얼어붙게 하는 밤, 두 마리 휘파람새의 결투’라고 정의했던 파스테르나크.
그 스산하고 처연한 풍경은 그의 삶과 사랑에 지워지지 않는 배경으로 남았다.
그는 시인의 운명을 타고났으나 ‘시대의 사슬’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동아일보 2003.10.)
'라라'의 테마
그대여 어딘가에 노래가 있을 거에요.
비록 눈이 봄의 희망을 덮고 있더라도 말이에요.
언덕 너머 어딘가에 푸르고 금빛나는 꽃들이 피어나고 있지요.
당신의 마음을 지탱시켜 줄 꿈들이 있답니다.
언젠가 우린 다시 만나게 될거에요. 내 사랑
언젠가 겨울을 이기고 따뜻한 봄이 올 때.. 당신은 내게 올 거에요.
바람처럼 따뜻하고 눈의 입맞춤처럼 부드럽게 긴 시간이 흐른 후에..
'라라'.. 내 사랑 이따금씩 절 생각해 주세요.
신이여, 내 사랑의 성공을 빌어주세요.
당신이 다시 내 사람이 될 때까지..
눈의 입맞춤처럼 부드럽게 긴 시간이 흐른 후에
...신이여, 내 사랑의 성공을 빌어주세요.
...당신이 다시 내 사람이 될 때까지..
'Story(문화,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시회) Van gogh to Piasso (0) | 2007.03.23 |
---|---|
영화) 그 여자 그 남자 (0) | 2007.03.02 |
여행) 운주사 - 세 번째 답사 (0) | 2007.02.22 |
여행) 법성포 (0) | 2007.01.25 |
새 신을 신고 뛰어보자 팔짝. (0) | 2007.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