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임

둥지회, 인사동 그림 전시회 ♪

opal* 2008. 11. 12. 15:09

 

전시회 시간에 맞춰 인사동에서 만나 전시회 관람,

저녁 식사 후 집에 오는 길, 늦은 시간에 영화도 한 편 감상.

 

 

 

 

90년대 초만 해도  평범한 주부로 엄한 시모님 모시며 이웃에 살던 이 임순씨,

나보다 조금 빠른 시기에 암투병, 그 후 뒤늦게 취미로 한국화를 그리며 개인전 열더니

요즘은 그림도 추상화로 바뀌고 해마다 개인전 열며 인사동에선 이미 大家로 불리고 있다. 

 

 

그림에서 호(號)의 규격

캔버스의 규격을 '호'라고 하는데 동양화는 전통적인 방식대로 전지,반지등으로 표시하는 경우도 있지만
점차 서양화의 호당 기준을 따라가는 추세이며
"호"의 단위는 인상파 화가에 의해 도입되어 국제적인 관례로 자리잡은 일종의 도량형이라 보면 된다.
그러나 서구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지역과 일본 및 한국과는 약간씩의 치수의 차이가 있다.

<號>는일반적으로 인물화 1호 기준(가로 22.7cm 세로 15.8cm, 엽서의 2배 정도)을 따른다. 
그러나 실제 호의 치수계산은 무척 복잡하다고 한다.        
0부터 숫자가 커질수록 그림의 크기가 크고, 작품 의도에 따라 호당 치수가 조금씩 차이가 있다. 

F(Figure, 人物畵) P(Paysage, 風景畵) M(Marine, 海景)
 
Canvas 틀의 국제 공통 규격 (단위 cm, 가로×세로)
호 수
F형 (인물)
P형 (풍경)
M형(바다풍경)
0
17.9×13.9
17.9*11.8
17.9*10.0
1
22.1×16.1
22.1*13.9
22.1*11.8
2
24.3×19.1
24.3*16.1
24.3*13.9
3
27.3×21.2
27.3*19.1
27.3*16.1
4
33.3×24.3
33.3*21.2
33.3*19.1
5
35.0×27.3
35.0*24.3
35.0*22.1
6
40.9×33.3
40.9*27.3
40.9*24.3
8
45.5×37.9
45.5*33.3
45.5*27.3
10
53.0×45.5
53.0*40.9
53.0*33.3
12
60.6×50.0
60.6*45.5
60.6*40.9
15
65.2×53.0
65.2*50.0
65.2*45.5
20
72.7×60.6
72.7*53.0
72.7*50.0
25
80.3×65.2
80.3*60.6
80.3*53.0
30
90.9×72.7
90.9*65.2
90.9*60.6
40
100.0×80.3
100.0*72.7
100.0*65.2
50
116.7×90.9
116.7*80.3
116.7*72.7
60
130.3×97.0
130.3*89.4
130.3*80.3
80
145.5×112.1
145.5*97.0
145.5*89.4
100
162.1×130.3
162.1*112.1
162.1*97.0
120
193.9×130.3
193.9*112.1
193.9*97.0
150
227.3×181.8
227.3*162.1
227.3*145.4
200
259.1×193.9
259.1*181.8
259.1*162.1
300
290.9×218.2
290.9*197.0
290.9*181.8
500
333.3×248.5
333.3*218.2

 

 

 

'모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E. com. 2008년 송년 뮤지컬♬  (0) 2008.12.04
청포도  (0) 2008.11.21
E. com  (0) 2008.10.24
청포도, 관악산 자락 산책  (0) 2008.10.23
둥지회 - 식사 후 공순영릉 답사  (0) 2008.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