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 팀 공부 끝낸 후 소공동 ㅈㅅ호텔에서 만나 점심 식사,
오후에 시립 미술관으로 자리 옮겨 '르느와르 전' 관람.
이번에도 선물 나누고...
원구단(사적 제157호. 圓丘壇).
우리나라와 중국의 역대 왕조에서 유교적인 의례에 따라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제천단,
하늘을 상징하여 제단의 형태를 둥근 모양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그같은 이름이 생겨났다.
고대국가 때부터 제천의식이 행해졌으나 유교적인 예(禮)의 관념에 따라 제도화된 원구제는 고려시대에 들어와서부터 실시되었다.
고려 성종 때 새로운 지배체제 확립을 위해 제도화했는데, 이는 왕권의 초월성을 강조하려는 국가의지의 소산이었다.
고려의 원구제는 중국의 이른바 천자국의 원구계와 같았다. 그렇기 때문에 제사대상은 5방의 천신뿐만 아니라
그 전체 위에 군림한다는 호천상제(昊天上帝)도 포함했다. 그러나 고려말 배원친명정책(排元親明政策) 이후 원구제는 폐지되었다.
조선이 건국된 이후 국가의 사전(祀典)을 정비해가던 국초에 성리학적인 명분론에 따라 제후국가인 조선에서
'천자의 제천의례'인 원구제를 거행할 수 없다고 했다. 그래서 큰 가뭄이나 비상의 사태를 당했을 때는 최후의 기우(祈雨) 대상으로
방편적으로만 거행되었다. 이는 당시 독자적 실재의 확립이라는 현실과 성리학적 명분론 사이의 갈등에서 빚어진 제천의례였다.
이러한 가운데 1457년(세조 3)에 원구제가 거행되기 시작했으나 1464년을 마지막으로 다시는 거행되지 않았다.
1616년(광해군 8) 원구제를 또 한 차례 거행하려고 했다는 기록이 보이지만 그 자세한 전말은 알 수 없다.
원구단이 다시 건립된 것은 1897년(광무 1) 조선이 국호를 대한제국이라고 고친 다음이다.
일제강점기인 1914년에 원구단이 철거되고 그 자리에 조선 호텔을 건축했다.
현재는 화강암 기단 위에 세워진 3층 8각정 황궁우(皇穹宇) 유적만 전해오고 있다.
내셔널지오그래픽지의 미국인 기자가 1926년 찍은 사진.
1920년대 경성부청(서울시청 옛 이름, 왼쪽 뒤)이 완공된 직후 원구단 황궁우(오른쪽).
오른쪽 위 원 안에 희미하게 보이는 것은 조선 총독부 청사다.
고종황제 즉위 105년 만에, 옥황상제 위패를 모셔놓고 천제.
조선호텔과 한국 방문의 해 추진위원회 공동 주관으로2002 한일 월드컵의 성공적인 마무리를 기원하는 천신제가 열렸었다.(KBS 뉴스)
메인 모임 후 뒷풀이도 즐기는 두 사람,
이번엔 르느와르전 관람시간이 길어 뒷풀이 이벤트 없이 백화점으로 가 쇼핑 후
매콤하고 새콤달콤한 고추냉이 소스에 시원한 そば 저녁 먹고 각자 집으로.
'모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포도, 양재동에서 (0) | 2009.07.09 |
---|---|
둥지회 (0) | 2009.07.08 |
E. com, 박물관 산책 (0) | 2009.06.19 |
꽃사슴, 애니골 (0) | 2009.06.15 |
청포도, 양재동에서 (0) | 2009.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