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란 지교를 꿈꾸며
유 안진
저녁을 먹고나면 허물없이 찾아가,
차 한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
입은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 냄새가 좀 나더라도
흉보지 않을 친구가 우리집 가까이에 있었으면 좋겠다.
비오는 오후나 눈 내리는 밤에 고무신을 끌고 찾아가도 좋을 친구,
밤 늦도록 공허한 마음도 마음놓고 보일수 있고,
악의없이 남의 이야기를 주고받고 나서도 말이 날까 걱정되지 않는 친구가...
사람이 자기 아내나 남편, 제 형제나 제 자식하고만 사랑을
나눈다면 어찌 행복해질수 있으랴
영원이 없을수록 영원을 꿈꾸도록 서로 돕는 영원한 친구가 필요 하리라.
나보다 나이가 많아도 좋고, 동갑이거나 적어도 좋다.
다만 그의 인물이 맑은 강물처럼 조용하고 은은하며, 깊고 신선하며,
예술과 인생을 조중히 여길만큼 성숙한 사람이면 된다.
그는 반드시 잘생길 필요도 없고 수수하나 멋을 알고 중후한 몸가짐을 할 수 있으면 된다.
때론 약간의 변덕과 신경질을 부려도 그것이 애교로 통할 수 있을 정도면 괜찮고,
나의 변덕과 괜한 흥분에도 적절히 맞장을 쳐주고 나서 얼마의 시간이 지나
내가 평온해 지거든 부드럽고 세련된 충고를 아끼지 않았으면 좋겠다.
나는 많은 사람을 사랑하고 싶진않다. 많은 사람과 사귀기도 원치 않는다.
나의 일생에 한두 사람과 끊어지지 않는 아름답고 향기로운 인연으로
죽기까지 계속 되길 바란다.
나는 여러 나라, 여러 곳을 여행하면서 끼니와 잠을 아껴 될수록 많은 것을 구경하였다.
그럼에도 지금을 그 많은 구경 중에기막힌 감회로 남은 것은 거의 없다.
만약 내가 한 두 곳,
한 두 가지만 제대로 감상 했더라면 두고두고 되새겨질 자신이 돼 있을걸...
우정이라 하면, 사람들은 관포지교를 말한다.
그러나, 나는 친구를 괴롭히고 싶지 않듯이 나 또한 끝없는 인내로 베풀기만 할 재간이 없다.
나는 도 닦으며 살기를 바라지 않고, 내 친구도 성현 같아지기를 바라진 않는다.
나는 될수록 정직하게 살고 싶고, 내 친구도 재미나 위안을 위해서
그저 제자라서 탄로 나는 약간의 거짓말을 하는 재치와 위트를 가졌으면 바랄 뿐이다
나는 때때로 맛있는 것을 내가 더먹고 싶을 테고 내가 더 예뻐보이기를
바라겠지만 금방 그마음을 지울 줄도 알 것이다.
때로는 얼음 풀리는 냇물이나 가을 갈대숲 기러기 울음을 친구보다
더 좋아할 수 있겠으나 결국은 우정을 제일로 여길것이다.
우리는 흰눈 속 침대 같은 기상을 지녔으나 들꽃처럼 나약할 수도 있고
아첨 같은 양보는 싫지만 이따금 밑지며 사는 아량을 갖기를 바란다.
우리는 명성과 권세, 재력도 중시하지도 부러워하지도 경멸하지도 않을 것이며,
그보다는 자기답게 사는 데에더 매력을 느끼려 애쓸 것이다.
우리가 항상 지혜롭지 못하더라도 자기의 곤란을 벗어나기위해 비록 진실일지라도 타인을 팔진 않을 것이다.
오해를 받더라도 묵묵할 수 있는어리석음과 베짱을 지니기를 바란다.
우리의 외모가 아름답지 않다 해도우리의 향기만은 아름답게 지니리라.
우리는 시기하는 마음 없이 남의 성공을 얘기하며, 경쟁하지 않고 자기 일을 하되 미친 듯,
몰두하게 되기를 바란다.
우리는 우정과 애정을 소중히 여기되 목숨을 거는 만용은 피할 것이다.
그래서, 우리의 우정은 애정과도 같으며우리의 애정 또한 우정과 같아서
요란한 빛깔도 시끄러운 소리도 피할 것이다.
나는 반닫이를 닦다가 그를 생각할 것이며,화초에 물을 주다가 안개 낀 아침 창문을 열다가,
가을 하늘의 흰 구름을 바라보다가, 까닭 없이 현기증을 느끼다가,
문득 그가 보고 싶어지기도 하겠고, 그도 그럴때 나를 찾을 것이다.
보고싶어지는 그는 때로 울고 기도 하겠고,내게도 울 수 있는 눈물과 추억이 있을 것이다.
우리에겐 다시 젊어질수 있는 추억이 있으나 늙는 일에 초조하지 않을 웃음도 만들어 낼 것이다.
우리는 눈물을 사랑하되 헤푸지 않게 가지는 멋보다 풍기는 멋을 사랑하며
냉면을 먹을 때는 농부처럼 먹을 줄 알며,
스테이크를 자를 때는 여왕처럼 품의있게 군밤을 아이처럼 까먹고차를 마실때는 백자보다 우아해지리라.
우리는 푼돈을 벌기위해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을 것이며,
천년을 늙어도 항상 가락을 지니는오동나무처럼,
일생을 춥게 살아도 향기를 팔지 않는 매화처럼, 자유로운 제 모습을 잃지 않고
살고자 애쓰며 격려하리라.
우리는 누구도 미워하지 않으며, 특별히 한 두 사람을 사랑한다 하여 많은 사람을 싫어하지 않으리라.
우리가 멋진 글을 못 쓰더라도 쓰는 일을 택한 것에 후회하지 않듯이, 남의 약점도 안쓰럽게 여기리라.
내가 길을 가다가 한 묶음의 꽃을 사서 그에게 들려줘도 그는 날 주책이라고 나무라지 않으며
건널목이 아닌 데로 찻길을 건너도 나의 교양을비웃지 않을게다.
나 또한 더러 그의 눈에 눈꼽이 끼더라도, 이 사이에 고추 가루가 끼었다고 해도
그의 숙녀 됨 이나 신사다움을 의심하지 않으며, 오히려 인간적인 유유함을 느끼게 될게다.
우리의 손이 비록 작고 여리나 여로를 버티어주는 기둥이 될 것이며,
우리의 눈에 핏발이 서더라도총기가 사라진 것은 아니며,
눈빛이 흐리고 시력이 어두워질수록, 서로를 살펴주는 불빛이 되어 주리라.
그러다가, 어느 날이 홀연히 오더라도 축복처럼, 웨딩드레스처럼, 수의를 입게 되리라.
같은 날 또는 다른 날이라도 세월이 흐르거든 묻힌 자리에서 더 고운 품종의 지란이 돋아 피어,
맑고 높은 향기로 다시 만나지리라.
1941년생 경북 안동 출생
1965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졸업
1965년 ≪현대문학≫에 시 <달>, <위로>, <별>이 추천되어 등단
1976년 미국 프로리다 주립대학교 대학원 졸업(교육심리 박사학위 취득)
1996년 96펜문학상 수상
1998년 10회 정지용문학상 수상
2000년 제35회 월탄문학상 수상
2006년 현재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 소비자아동학부 교수
간행물 윤리상 수상
주요 저서 시집 목록
시집 <달하> 조광출판사 1970
시집 <잘망시편(絶望詩篇)> 노벨문화사 1972
시집 <물로 바람으로> 조광출판사 1976
시집 <그리스도 옛애인> 심상사 1978
시집 <날개옷> 문학예술사 1981
시집 <꿈꾸는 손금> 현대문학사 1985
시집 <달빛에 젖은 가락> 예전사 1985
시집 <약속의 별 하나> 예전사 1986
수필 <지란지교를 꿈꾸며> 영학출판사 1986
수필 <부르고 싶은 이름으로> 자유문화사 1986
수필 <그리운 말 한마디> 고려원 1986
수필 <그림엽서 한장 띄워> 자유문학사 1986
수필 <지는 꽃을 보며> 어문각 1986
수필 <먼 훗날에도 우리는> 어문각 1986
시집 <영원한 느낌론> 현대문학사 1987
시집 <눈 내리는 날의 일기> 융성출판사 1987
시집 <풍각쟁이의 꿈> 문학사상사 1987
시집 <달무리 목에 걸고> 고려원 1987
수필 <멀리있기> 혜원출판사 1988
수필 <달무리 목에 걸고> 고려원 1988
수필 <내 영혼의 상처를 찾아서> 문학사상사 1988
시집 <남산길> 자유문학사 1988
수필 <별들의 약속> 자유문학사 1989
시집 <월령가 쑥대머리> 문학사상사 1990
수필집 <한국여성:우리는 누구인가 상·하> 자유문학사 1991
시집 <구름의 딸이요 바람의 연인이어라> 시와시학사 1993
시집 <누이> 세계사 1997
시집 <봄비 한 주머니> 창작과비평사 2000
시집 <다보탑을 줍다> 창작과비평사 2004
'詩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비석 - 산정무한(山情無限) (0) | 2005.12.30 |
---|---|
유 인숙 - 사랑이 깊어진다는 것은, 회상, 갈무리. (0) | 2005.11.27 |
홍 수희- 마음의 간격. 겨울 고해. (0) | 2005.09.30 |
안 도현- 9월이 오면. (0) | 2005.09.02 |
마종기- 우화의 강. 이름 부르기, 과수원에서. (0) | 2005.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