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리만자로 트레킹

킬리만자로 등반 개념도와 일정표, 그리고 인삿말 몇 마디

opal* 2009. 12. 4. 22:19

 

아프리카 최고봉 킬리만자로(5895m) 등반(고산 가이드 동행) 

12월 5일(토) 출국, 사파리 게임 드라이브, 12월 15일 귀국 

 

 

 

킬리만자로(5,895M)+사파리-9박11일

포함 내역

 왕복항공권, TAX, 호텔(2인실), 롯지(2인1실), 산장(다인실), 일정상의 식사,

 전용차량, 국립공원 입장료, 현지 영어 가이드, 포터, 여행자보험(최고1억),

 케냐비자(34,000원)

불포함 내역

 유류할증료(50,000원)

 탄자니아 비자(50$)

 가이드/보조가이드/포터 팁+공동경비 (120$/1인)

출발일

  12/05 - 19명 출발

상품가격

+a

  \4,200,000 + 공동경비180$ +20$(마사이족)+가이드팁(3일개인경비) 20$+

식사, 숙박 등 각종tip 1$ 씩×날자+a,  귀국시 태국 경유 전신맛사지 3$

+ 공동경비 부족하여 14$씩 더 지불.  ※다녀온 후  경비 일부 포함.

 * 싱글차지는 200$

기타(필독)

 케냐 나이로비 - 한국인 가이드 (미팅 & 샌딩)

 킬리만자로 트레킹/사파리 - 영어가이드 동반

신청방법

 * 여행신청 후 - 예방주사 접종 (황열,출발 10일 이전에 접종)

 * 계약금 40만원

 * 사진3매+여권원본(비자용) (케냐비자 한국에서 미리 받아 출발)

진행

 메인가이드 2~3명 / 보조가이드 5~6명 / 요리사1명

 

일 자

도 시

교 통

주 요 일 정

식 사

(12/5/토)

인천

방콕

KE 651

1500 인천공항 3층 A 카운터 집결

  -탑승수속

1720/2110 인천공항-방콕공항

 -국제선 트랜짓

 

 

 

 

석:기내식

(12/6/일)

방콕

나이로비

나망가

아루샤

모시

KQ 861

 

전용차량

 

트레킹

0040/0610 방콕공항-나이로비공항(케냐)

 * 비행 약 9시간30분

 케냐의 수도 나이로비 공항 도착

 -입국수속(비자는 한국에서 받음)

 0800 탄자니아 국경도시 나망가로 이동

 * 이동소요시간(약3시간)

 1100 국경에서 탄자니아 비자수속

 * 입국수속 / 아루샤 이동(약2시간)

 1400 아루샤 경유 모시도착

 -점심식사 후 호텔 휴식

 호텔 : 임팔라 호텔(IMPALA HOTEL)

조:기내식

중:호텔식

석:호텔식

(12/7/월)

모시

마랑구

만다라산장

트레킹

 호텔 조식 /마랑구 게이트 이동(약2시간)

  킬리만자로 등반 출발지인 마랑구 게이트도착

  - 입산수속. 포터/ 가이드배정

 트레킹 - 제1일

 11:00 등반 시작(3시간 30분 산행)

 마랑구 게이트(1,980M) /열대 우림지역을 통과/

 만다라 산장

 숙소 : 만다라 산장(2,750M)

조:현지식

중:현지식

석:현지식

(12/8/화)

만다라산장

호롬보산장

트레킹

 트레킹 - 제2일

 조식 후 출발/ Moundi crater 경유

 마휀지 정상을 바라보며,

 건조한 관목지대를 통과

 호롬보 산장 도착 후 휴식-약6시간-

  거리 : 약12KM/ 고도 약1,000M

 숙소 : 호롬보 산장(3,720M)

조:현지식

중:현지식

석:현지식

(12/9/수)

호롬보

고산적응

 트레킹 - 제3일(고소적응을 위한 예비일)

 장비의 점검 및 키보산장 등반을 위한 최종 점검.

 중식 후

 마웬지봉까지 고소적응 트레킹(약4시간)

 숙소 : 호롬보 산장(3,720M)

조:현지식

중:현지식

석:현지식

(12/10/목)

호롬보산장

 

키보산장

트레킹

 트레킹 - 제4일

 호롬보산장 출발.

 황무지를 지나 매우느리게 산행(약7시간)

 마지막 샘을 지나 가장 높은 산장인  키보산장(4,700m)에 도착

 -정상공격을 위한 충분한 휴식
 숙소 : 키보산장(4,700M)

조:현지식

중:현지식

석:현지식

(12/11/금)

키보산장

우후루피크

키보산장
호롬보산장

정상

 트레킹 - 제5일

 01:00 기상, 간단한 식사 / 정상 공격(약7시간)
 08:00 Gillmans peak(5,700m)
 09:00 Uhuru peak(5,895m).

          정상의 감격을 사진에 담고....
 10:00 하산
 13:00 키보 산장 도착 후 중식
 16:00 호롬보 산장 도착
 숙소 : 호롬보 산장(3,720M)

조:현지식

중:현지식

석:현지식

(12/12/토)

호롬보산장
마랑구

나망가

암보셀리

트레킹

 

전용차량

 트레킹 - 제6일

 조식 후 하산 산행 계속(호롬보-마랑구 게이트)

  거리 : 약20KM/ 6~7시간

 공원 사무소에 하산신고. /등정증명서 교부

  도시락 중식 후 가이드, 포터들과 이별

  -나망가 이동(약3시간30분)

  -나망가 도착/ 국경통과 암보셀리 국립공원이동

  -암보셀리 국립공원 도착

  롯지에서 저녁식사 및 휴식

 호텔 : 암보셀리 센트림 롯지

조:현지식

중:도시락

석:현지식

(12/13/일)

암보셀리

 

나망가

나이로비

전용차량

 

KQ 886

 0630  조식 후

 킬리만자로를 배경으로 사파리 게임 드라이브

   1000 롯지 체크아웃

 -나망가로 이동(약2시간)

  나망가를 경유하여 나이로비로 이

 1700 나이로비 도착 바비큐식당으로 이동

  -아프리칸 바비큐 저녁식사

   (스프, 야채샐러드, 각종 야생동물 바비큐 등)

  1930 공항 도착/ 탑승수속

  2210 /1220+1 나이로비-방콕 공항

조:호텔식
중:도시락

석:BBQ

(12/14/월)

방콕

 

 

KE 652

1220 방콕 공항 도착

 <공항대기 및 방콕 시내관광>-자유일정

2240 방콕 출발

조:기내식

중:불포함

석:불포함

(12/15/화)

인천

-

0550 인천공항 도착

  - 아프리카 최고봉인 킬리만자로 일정 마감

  - 안녕히 돌아가십시요

-

* 상기 일정은 항공 및 현지 사정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습니다.

 

아프리카 여행을 위한 기본정보

일교차가 심하므로 감기에 조심하여야 합니다(본인에게 맞는 약품 지참 요망)

물은 항상 끓인물이나 생수만 마시도록 해야 합니다, 물백(정상가는 날은 물이 얼어 마시기 힘들다.

원주민 마을 방문하여 사진 촬영시 미리 양해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아프리카 대부분은 아직 치안이 불안합니다/밤에 혼자 외출하거나, 대중교통을 혼자 이용하는 것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음식 반입 절차가 철저하므로 사전에 신고 하도록 합니다

사파리 참여중에는 가이드의 지시에 따라 안전한 여행이 되도록 한다

화물에는 귀중품이나 스프레이 , 파손의 우려가 있는 물건은 넣지 말아야 합니다

 준비물

고배율 망원경(사파리 도중에 동물은 자세히 보기 위해 지참),손목 시계 ,사진과 여권 복사본

선 글라스(자외선 차단용), 썬 크림 , 챙 넓은모자, 스키용 고글이면 더 좋다. 선글라스 2개 준비.

비상약(감기약, 멀미약, 소화제, 진통제, 지사제)

스와힐리어 몇 가지

 감사합니다   Thank you   아 싼떼 사나

안녕히 가세요   Good bye   구하헤리

안녕   Hello   잠보?(Jambo)

천천히   Slow   뽈레뽈레

걱정마 잘될꺼야    하쿠나 마타타

안녕히 주무세요    라라 살라마

 하쿠나 마타타(Hakuna matata) 는 스와힐리어의 구문으로 말 그대로 옮기면 "걱정 거리가 없다"라는 뜻 이다.

 

스와힐리어는 아프리카 동부에서 널리 쓰이는 반투어군 언어이다. 남부 소말리아에서 모잠비크 북부까지,

동아프리카 해안을 따라 1500 km에 이르는 지역에서 사는 스와힐리족의 모어이다.

대략 500만여 명이 첫번째 언어로, 5000만여 명이 두 번째 언어로 쓰고 있다.  스와힐리어는 동아프리카와 인근지역의 공통어이다

 

스와힐리어는 아프리카 동부 해안에 있는 섬인 잔지바르에서 기원했다.

잔지바르에서 쓰이는 방언은 키웅구자(웅구자어)라 불린다. 스와힐리어는 탄자니아, 케냐, 우간다(2005년부터)의 공용어이다.

이 언어는 콩고민주공화국의 4대 법적 국민어중 하나이며, 르완다, 부룬디,소말리아,마요트를 포함한

코모로, 모잠비크, 말라위의 일부 지역에서도 쓰이고 있다.

 또한 2004년부터는 아프리카연합에서 영어, 프랑스어, 아랍어, 포르투갈어, 에스파냐어(2003년부터)에 이어

 6번째로 업무어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