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y(문화,여행)

전시) 프리다 칼로 전

opal* 2015. 7. 2. 23:00

 

※. 동영상이 두 개 있어 음악 삽입은 생략.

중간 부분에 있는 두 번째 동영상은 '프리다 칼로의 인생과 시대 다큐멘터리 이다.'

소마 미술관

 

 

 

 

 

 


아래 영상을 클릭하면 다른 화면이 연결됨.

 


 

1907년 멕시코시티 교외 코요아칸에서 출생하였다. 헝가리계 독일인인 아버지(기예르모 칼로)는평범한 사진사였으며 

그에게 '프리다'라는 이름을 붙여 주었는데, 독일어로 평화를 의미했다. 

프리다 칼로의 집안은 가난했으며 어머니(마틸드 칼데론)의 우울증으로 유모의 도움으로 자랐다. 

칼로의 어머니 마틸드는 멕시코 혁명 당시 농민 지도자인 자파의 부하들을 보살펴 준 것을 계기로

멕시코 청년공산당에 가입하여 죽을 때까지 골수 스탈린주의자였으며 매우 열성적인 성격이었다.

칼로는 이런 어머니의 성격을 이어받았다.

1913년 6세 때 소아마비에 걸려 오른쪽 다리가 쇠약해지는 장애가 생겼고, 이 때문에 내성적이고 관념적인 성격이 되었다.

1921년 의사가 되기위해 국립예비학교에 다녔다. 정치에 관심이 많았으며 러시아 혁명가에 심취하여

평생 공산주의 옹호론자가 되었다. 이때 학교의 벽면에 프레스코 벽화를 그리는 디에고 리베라(Diego Rivera)를 목격하고

심리적인 큰 영향을 받았다. 당시 리베라는 유럽에서 돌아와 멕시코 문화운동을 주도하는 유명한 예술가로 알려져 있었고

 칼로는 그의 작품과 인간적인 매력에 빠져 흠모하게 되었다. 리베라의 영향으로 그림을 그리게 되었다.

1925년 18세 때 교통사고로 척추와 오른쪽 다리, 자궁을 크게 다쳐 평생 30여 차례의 수술을 받는 등

이 사고는 그의 삶 뿐만 아니라 예술 세계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사고로 인한 정신적·육체적 고통은 그가 화가되었을 때 작품 세계의 주요 주제가 되었다.

 

1929년 연인이었던 디에고 리베라와 21세의 나이차를 극복하고 결혼하였다.

결혼 이후 프리다는 리베라를 내조하느라 자신의 작품을 그릴 여유가 없었다.

멕시코 혁명에 적극적이었지만 결혼 이후에는 남편 리베라와 함께 정치적 논쟁에 휘말렸으며 멕시코 공산당에서 탈퇴하였다. 

1930년 벽화제작을 의뢰받은 리베라와 함께 미국 샌프란시스코, 뉴욕, 디트로이트에서 머물렀다.

하지만 미국에서 프리다는 리베라의 그늘에 가려 항상 외롭고 힘겨운 시간을 보내야 했다.

1933년 록펠러재단의 의뢰를 받고 벽화를 제작하던 중 레닌의 얼굴을 그려넣을 것을 두고

재단측과 불화로 벽화제작이 취소되었고 마침내 고향 멕시코로 돌아왔다.

멕시코에 돌아온 후 남편 디에고 리베라와 관계가 나빠지기 시작했다.

리베라의 자유분방하고 문란한 여자관계는 급기야 프리다 칼로의 여동생과 바람을 피우게 되었다.

프리다 칼로는 극심한 고통속의 나날을 보냈으며 이 당시 자신의 심경을 표현한 《몇 개의 작은 상처들》(1935)이 남아 있다.

 디에고 리베라에 대한 실망과 배신 그리고 분노는 프리다 칼로의 작품 전반에 걸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1939년 피에르 콜 갤러리에서 열린 《멕시코전》에 출품하여

 파블로 피카소(Pablo Picasso바실리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 등으로부터

초현실주의 화가로 인정받았으나 프리다 칼로 자신은 자신의 작품 세계가 유럽의 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니고,

멕시코적인 것에 뿌리를 둔 것이라고 자신의 정체성을 밝혔다.

 

그해 유럽에서 멕시코로 돌아와 그해 11월  디에고 리베라와 이혼했다.

잠시미국에 체류하면서 사진가 니콜라 머레이와 사랑에 빠지기도 하여지만

그녀에게 리베라는 없어서는 안될 절대적인 사랑의 존재였다. 1940년 8월 프리다는 디에고와 다시 결혼을 하였는데 

프리다는 디에고에게 성관계를 갖지 않는다는 조건을 요구하여 합의하였다.

프리다의 삶은 매우 연극적이었고 항상 여사제처럼 전통 의상과 액세서리착용하였으나

남성에 의해 여성이 억압되는 전통적인 관습을 거부했기 때문에 페미니스트들에게는 20세기 여성의 우상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작품으로는 사고로 인한 신체적 고통과 남편 리베라 때문에 겪게된 사랑의 아픔을 극복하고자

거울을 통해 자신의 내면 심리 상태를 관찰하고 표현했기 때문에 특히 자화상이 많다.

프리다 칼로의 작품에 영향을 끼친 또다른 점은 세 번에 걸친 유산과 아이를 낳을 수 없다는 사실이었다.

선천적인 골반기형 때문이었고 이는 고통스러운 재앙으로 받아들여져 《헨리포드 병원》(금속에 유채, 38×30.5㎝, 1932),

《나의 탄생》(금속판에 유채, 30.5×30㎝, 1932), 《프리다와 유산》(종이에 리소그래피, 31.7×23.5㎝, 1932) 등과 같은

작품들로 형상화되었다. 이 작품에서 프리다 칼로의 모습은 탯줄과 줄 혹은 뿌리 같은 오브제들과 연결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상처받은 사슴》(캔버스에 유채, 22.4×30㎝, 1946) 속의 그녀의 모습은 비록 여러 개의 화살 때문에

피를 흘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선은 매우 투명하고 강한 빛을 발하는데

 이는 삶에 대한 강한 의지와 자신의 고통이 오히려 예술로 승화되었음을 나타낸다.

이후 프리다는 회저병으로 발가락을 절단하는 수술을 받았고 골수이식 수술 중 세균에 감염되어 여러차례 재수술을 받아야만 했다.

 극심한 고통속에서도 1953년 프리다 기념전이 열렸으며, 1954년 건강이 악화되었지만 자신의 정치적 신념을 표현한 마르크스와 스탈린을 추앙하는 정치색이 짙은 작품을 제작하였다. 그해 7월 2일 디에고와 함께 미국의 간섭을 반대하는 과테말라 집회에도 참가하였다가 7월 13일 폐렴이 재발하여 사망하였다. 

자신의 죽음을 예견하고 마지막 일기에는 "이 외출이 행복하기를 그리고 다시 돌아오지 않기를..."이라는 글을 남겼다.  
1970년대 페미니즘 운동이 대두되면서 그녀의 존재가 새롭게 부각되기 시작했고,

1984년 멕시코 정부는 그녀의 작품을 국보로 분류하였다.

 

 

 

self-Portrait with necklace

 

 

전시작품 143점 중 55점이 자화상, 프리다 칼로는 그림 중 자화상이 많다.

 

 

self-Portrait with Monkey

 

 

The Broken Column 

 

The Little Deer 

 

 

The Love Embrace of The Universe, The Earth, Myself, Diego and Senor Xolotl

 

Henry Ford Hospital 

 

Moses (Nucleus of Creation)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Self-Portrait-with-Cropped-Hair-276x395 

프리다 칼로가 전시를 마치고 멕시코로 귀국했을 때 그녀를 기다린 것은 사랑했던 니콜라스 머레이가 

다른 여자와 결혼하게 되어 프리다 칼로를 떠난 일과, 남편이였던 디에고 리베로가 프리다 칼로에게 

이혼을 요구한 일이였다. 이때의 심정을 그녀는 <머리카락을 자른 자화상>을 통해 표현하고 있다.

 

"알겠니, 내가 날 사랑한 건 네 머리카락 때문이었는데, 

  이제 그 머리카락이 네게 없으니, 더 이상 널 사랑하지 않아." 라는 내용 이다.

 

그녀가 파리에서 발견한 것은 파시즘의 발호에도 불구하고 무력한 유럽 지식인들의 몸짓이었고,

껍데기만 남은 초현실주의였다. 그녀는 이런 경험을 통해 분명히 초현실주의적인 화풍을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은 초현실주의와 전혀 상관없는 그림을 그리고 있다고 강변했다.  

그녀에게 있어 자신의 작품은 도피하고 싶지만 도망갈 수 없는 철저히 현실이었다.

 

My Parents, My Grandparents and I

 

The Dream 

 

Tree of Hope 

 

 

디에고 리베라에게는 세 번째 부인인 프리다 칼로와 바람둥이 남편인 디에고 리베라.

 

 Portrait of Diego Rivera 

 

Frida Kahlo and Diego Rivera 

 

Portrait as Tehuana or Diego in my mind 1943

 

Portrait with bed(me and my doll)

 

The bride who becomes frightened when she sees life opend

 

 

The Life and Times of Frida Kahlo

(프리다 칼로의 인생과 시대 다큐멘터리)

 

 

 

 

 

 

 

 

 

 

 

 

 

 

 

 

 

 

‘하얀 벤치에 앉은 프리다’(1938년 작).

한때 프리다 칼로의 연인이었던 유명 미국 사진가 니콜라스 머레이가 찍은 사진

 

 

프리다 칼로가 사용했던 보조기구

 

 

 

 

프리다 칼로가 디에고 리베라와 살았던 파란집.

 

 

 

'Story(문화,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연평해전  (0) 2015.07.09
전시) 디에고 리베라 전  (0) 2015.07.03
여행) 전북 순환 관광  (0) 2015.05.22
영화) 퐁네프의 연인들  (0) 2015.04.25
음악회) 한국가곡의 밤  (0) 2015.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