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코스피 주가지수), 1460선대로 8.39% 급락하며 마감.
서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 ; CB)
증권 시장에서 주가의 급변동으로 시장 불안정의 가능성이 고조될 때 발동되는 제도.
'서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는 전기장치에 과전류가 흘러 화재가 날 위험이 생길 때
전기 회로를 자동으로 끊어주는 부품의 이름에서 따온 경제용어이다.
서킷 브레이커는 주식시장에서 주가의 급등락으로 주식시장의 불안정성이 확대될 때
시장의 냉정을 되찾기 위해 만들어진 강제적인 안전장치이다
발동조건
서킷 브레이커는 종합주가지수, 즉 코스피 지수나 코스닥 지수가 전일 대비 10% 이상 하락하는 상황이 1분간 지속되는 경우에 발동된다.
현물시장에서 발동할 경우 선물시장과 옵션시장도 모두 정지된다.
선물시장의 서킷 브레이커는 별도로 지수선물 등락율 상하 5%, 또는 괴리율이 상하 3%가 되면 발동되는데,
이 경우 선물시장과 옵션시장에만 적용된다.
효과
서킷 브레이커가 발동되면 주식매매는 20분간 전면 중단되며, 이후 10분간은 호가만 접수해 단일가격으로 거래를 체결시킨다.
서킷 브레이커의 발동은 주식시장 시작 후 5분 이후, 즉 9시 5분부터 가능하며 하루에 단 한 번만 발동시킬 수 있다.
또한 장 마감 40분 전인 오후 2시 50분 이후에는 주가가 아무리 폭락하더라도 서킷 브레이커는 발동되지 않는다.
선물시장에서 발동된 경우에는 15분간 선물과 옵션 거래가 중단된다. 선물시장에서 발동된 서킷 브레이커는 현물시장과 별도로 간주된다
역사
서킷 브레이커는 미국에서 1987년 10월 19일 하루 동안 주가가 22% 대폭락한 블랙먼데이 이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처음 도입되었고, 이후 세계 각국에서 도입하기 시작했다.
한국에서는 1998년 개별종목 주가의 일일 가격제한폭이 12% 이상 확대되는 등 주식시장의 불안정성에 문제가 제기되자
코스피에 먼저 서킷 브레이커 제도가 도입되었고, 코스닥에는 2001년 도입되었다
사례
한국에서 서킷 브레이커가 처음 발동된 것은 미국 주식시장 폭락의 영향으로 코스피 지수가 90포인트 이상 하락했던 2000년 4월 17일이다.
2001년에는 미국 9.11 테러의 영향으로 코스피 시장에서 발동한 적이 있으며,
2020년 3월 13일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전 세계 확산과 유가폭락,
전날의 미국과 유럽 증시 폭락 등의 이유로 주가가 급락하면서 사상 처음으로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서 같은 날 서킷 브레이커가 발동되었다.
지난 금욜(2020.3.13.)에 이어 오늘도 서킷 부레이커 발동.
역대 두번째 동시 발동…
오늘(19일) 국내 증시가 개장 이후 동반 폭락하면서 서킷브레이커와 사이드카가 코스피와 코스닥에 동시 발동됐다.
서킷브레이커가 두 시장에 발동된 것은 3월13일에 이어 역대 두 번째다.
한국거래소는 이날 장중 코스피지수 8% 이상 하락이 1분간 지속돼
향후 20분 동안 시장 매매거래를 중단하는 서킷브레이커를 발동한다고 공시했다.
지수는 이날 낮 12시5분경 전 거래일(1591.20)보다 129.69포인트(8.15%) 내린 1461.51에 1분간 거래됐다.
이번 코스피 서킷브레이커는 이달 들어 두 번째, 사상 다섯 번째 조치다.
같은 시간 거래소는 코스닥시장의 매매 거래를 중단하는 서킷 브레이커를 발동했다.
중단대상 상품은 코스닥시장 기초자산 관련 모든 파생상품(스프레드 포함)으로 KRX300선물 상품은 제외된다.
이번 코스닥 서킷브레이커는 이달 들어서만 두 번째, 제도 도입 이후 아홉 번째 조치다.
거래소는 12시5분부터 20분간 코스피시장과 코스닥시장의 매매 거래를 제한했다.
이후 10분간 단일가 매매를 한 뒤 12시35분부터 거래를 재개했다
코스피, 1450선대…10년8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
19일 코스피지수는 급락하며 1450선대로 내려앉았다.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1591.20)보다 133.56포인트(8.39%) 내린 1457.64에 마감했다.
이는 종가 기준으로 지난 2009년 7월17일(1440.10) 이후 10년8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485.14)보다 56.79포인트(11.71%) 내린 428.35에 장을 마쳤다.
지난 2011년 10월5일(421.13) 이후 8년5개월 만에 가장 낮다.
서킷브레이커는 주가가 일정 수준 이상 급락하는 경우 투자자들에게 냉정한 투자 판단을 할 시간을 주기 위해 거래를 잠시 멈추는 제도다.
1987년 10월19일 미국 사상 최악의 주가 폭락 사태인 '블랙먼데이' 이후 주식 시장의 붕괴를 막는 취지로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도입됐고,
코스피와 코스닥시장에는 각각 1998년 12월7일, 2001년 10월15일 도입됐다.
현물 주식시장 거래를 아예 정지시키기 때문에 다른 조치들보다 강력한 제한 제도다.
코스피와 코스닥시장은 이달 들어 두 번째 서킷브레이커 조치가 4거래일 만에 이뤄졌다.
3월13일에도 주가지수가 8% 넘게 급락하면서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서 모두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된 바 있다.
두 시장이 같은 날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된 것은 사상 처음이었다.
이로써 국내 증시는 지난주에 이어 또다시 코스피와 코스닥시장의 거래가 일제히 중단되는 상황을 겪게 됐다.
한편 이날 선물 가격 또한 요동치면서 프로그램 매도 호가의 효력을 중단시키는 사이드카도 발동됐다.
거래소는 코스피200 선물(최근월물) 가격이 전일 종가 대비 5% 이상 하락한 상태가 1분간 지속됨에 따라
이날 오전 11시50분부터 5분간 유가증권시장의 프로그램 매매 거래를 중단했다.
아울러 낮12시54분경 코스닥지수에도 사이드카를 발동했다.
코스닥150 선물 가격이 6% 이상 상승 또는 하락해 1분간 지속되면 사이드카를 발동한다.
코스닥시장 사이드카 조치는 코스닥150 선물가격이 6.22% 하락하고
현물지수(코스닥150)가 6.14% 내린 데 따라 이뤄졌다. 코스피 사이드카는 이달 들어서만 세 번째, 코스닥 사이드카는 두 번째다.
앞서 코스피 사이드카 발동은 3월12일, 13일 각각 이뤄진 바 있다.
코스피 매도 호가 사이드카는 지난 2011년 네 번에 걸쳐 조치된 이후 8년5개월여 만에 발동됐다.
코스닥시장에서 매도호가 급락으로 인해 사이드카가 발동된 것은 지난 13일 이후 4거래일 만이다.
13일 코스닥 매도 사이드카 발동은 지난해 8월5일 이후 약 7개월 만이었다
사이드카(Sidecar)
주식시장의 급등락을 막기 위해 현물 프로그램 매매 체결을 잠시 중지시키는 제도.
오토바이의 보조 탑승장치인 '사이드카(side car)'의 이름에서 유래했으며,
급격한 불균형 상황에서 안정과 균형을 유지하여 원활한 거래로 복귀하도록 유도하는 보조적인 기능을 수행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주식 선물 가격이 떨어지면 시장에 현물 매도 물량이 급증해 현물 시장도 급락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선물 및 현물 거래를 5분간 중지시켜 시장을 안정시킬 목적으로 이용된다.
배경
주식 선물시장에서 어떤 종목을 얼마에 거래할 것인지를 미리 프로그램에 입력해 놓은 프로그램 매매라는 방식으로 많은 거래가 일어난다.
그런데 선물 가격이 급락하거나 급등할 경우, 특정 시점에서 매도 혹은 매수 주문이 일방적으로 많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선물가격이 떨어지면 시장에 현물 매도 물량이 지나치게 많아져서 현물 시장도 급락할 위험이 커진다.
사이드카란 이렇듯 주가가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사전 보호 제도이다.
조건과 발동
선물가격이 전일 종가 대비 코스피는 5%, 코스닥은 6% 이상 등락하는 상황이 1분 이상 계속되면 거래 시스템에 의해
사이드카가 자동으로 발동된다.
사이드카가 발동하면 그 시점부터 5분간 거래가 정지되며, 5분이 지나면 자동으로 사이드카가 해제되고 매매체결이 재개된다.
사이드카는 1일 1회에 한해 발동되며, 매매 종료 40분 전인 오후 2시 50분 이후에는 발동되지 않는다.
사이드카는 프로그램 매매에만 적용되기 때문에 직접 거래 등은 포함되지 않는다.
서킷 브레이커와의 차이.
코스피나 코스닥 시장에서 전일 종가 대비 10% 이상의 등락이 1분 이상 지속될 경우에 20분간 모든 매매를 정지시키고
30분 후 매매가 재개되는 것은 서킷 브레이커라고 한다.
서킷 브레이커는 현물시장과 선물 및 옵션시장에서 별도로 발동되며,
현물시장에서 발동될 때에는 선물 및 옵션시장도 동시에 적용되고, 선물시장에서 발동될 때에는 선물과 옵션시장에만 적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