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봄
윤 동주
봄이 혈관 속에 시내처럼 흘러
돌, 돌, 시내 가차운 언덕에
개나리, 진달래, 노오란 배추꽃
삼동(三冬)을 참어 온 나는
풀포기처럼 피어난다.
즐거운 종달새야
어느 이랑에서 즐거웁게 솟쳐라.
푸르른 하늘은
아른아른 높기도 한데......
별 헤는 밤
윤 동주
계절이 지나가는 하늘에는
가을로 가득 차 있읍니다.
나는 아무 걱정도 없이
가을 속의 별들을 다 헤일듯합니다.
가슴 속에 하나 둘 새겨지는 별을
이제 다 못 헤는 것은
쉬이 아침이 오는 까닭이요,
내일 밤이 남은 까닭이요,
아직 나의 청춘이 다하지 않은 까닭입니다.
별 하나에 추억과
별 하나에 사랑과
별 하나에 쓸쓸함과
별 하나에 동경과
별 하나에 시와
별 하나에 어머니, 어머니,
어머님, 나는 별 하나에 아름다운 말 한마디씩 불러봅니다.
소학교 때 책상을 같이 했던 아이들의이름과, 패, 경, 옥 이런 이국 소녀들의 이름과,
벌써 애기 어머니 된 계집애들의 이름과, 가난한이웃 사람들의 이름과, 비둘기, 강아지, 토끼,
노새, 노루, 프랑시스 쟘, 라이너 마리아 릴케, 이런 시인의 이름을 불러봅니다.
이네들은 너무나 멀리 있읍니다.
별이 아슬히 멀듯이,
어머님,
그리고 당신은 멀리 북간도에 계십니다.
나는 무엇인지 그리워
이 많은 별빛이 내린 언덕 위에
내 이름자를 써 보고,
흙으로 덮어버리었읍니다.
딴은 밤을 세워 우는 벌레는
부끄러운 이름을 슬퍼하는 까닭입니다.
그러나 겨울이 지나고 나의 별에도 봄이 오면
무덤 위에 파란 잔디가 피어나듯이
내 이름자 묻힌 언덕 위에도
자랑처럼 풀이 무성할 거외다.
편지
윤 동주
그립다고 써보니 차라리 말을 말자
그냥 긴 세월이 지났노라고만 쓰자
긴 긴 사연을 줄줄이 이어
진정 못 잊는다는 말을 말고
어쩌다 생각이 났었노라고만 쓰자
그립다고 써보니 차라리 말을 말자
그냥 긴 세월이 지났노라고만 쓰자
긴 긴 잠 못 이루는 밤이 오면
행여 울었다는 말을 말고
가다가 그리울때도 있었노라고만 쓰자
서시
윤 동주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와 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 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 가야겠다.
오늘 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참회록
윤 동주
파란 녹이 낀 구리 거울 속에
내 얼굴이 남아 있는 것은
어느 왕조(王朝)의 유물이기에
이다지도 욕될까.
나는 나의 참회의 글을 한 줄에 줄이자.
--만 이십 사 년 일 개월을
무슨 기쁨을 바라 살아 왔던가.
내일이나 모레나 그 어느 즐거운 날에
나는 또 한 줄의 참회록을 써야 한다.
--그 때 그 젊은 나이에
왜 그런 부끄런 고백을 했던가.
밤이면 밤마다 나의 거울을
손바닥으로 발바닥으로 닦아 보자.
그러면 어느 운석(隕石) 밑으로 홀로 걸어가는
슬픈 사람의 뒷모양이
거울 속에 나타나온다.
길
윤 동주
잃어버렸습니다.
무얼 어디다 잃어버렸는지 몰라
두 손이 주머니를 더듬어
길에 나아갑니다.
돌과 돌과 돌이 끝없이 연달아
길은 돌담을 끼고 갑니다.
담은 쇠문을 굳게 닫아
길위에 긴 그림자를 드리우고
길은 아침에서 저녁으로
저녁에서 아침으로 통했습니다.
돌담을 더듬어 눈물 짓다
쳐다보면 하늘은 부끄럽게 푸릅니다.
풀 한 포기 없는 이 길을 걷는 것은
담 저쪽에 내가 남아 있는 까닭이고,
내가 사는 것은 다만,
잃은 것을 찾는 까닭입니다.
1917 12월 30일 북간도 명촌동 출생
1925 명동소학교 입학
1929 송몽규 등과 함께 문예지 <새 명동> 발간
1931 대남자(大拉子)의 중국인학교 다님
1932 용정의 은진중학교 입학
1935 평양 숭실중학교로 옮김
1936 숭실중학 폐교후 용정 광명학원 중학부 4학년에 전입
1938 서울 연희전문학교 문과 입학
1939 산문 <달을 쏘다>를 조선일보에, 동요<산울림>을 <소년>지에 각각 발표
1942 리쿄오대학(立敎大學) 영문과 입학, 가을에 도오시샤대학(同志社大學) 영문과로 전학
1943 송몽규와 함께 독립운동 혐의로 일본경찰에 체포
1945 2월 16일 큐우슈우(九州) 후꾸오까형무소(福岡刑務所)에서 옥사
주요 저서 시집 목록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정음사 1948
시집 <별을 헤는 밤> 문화공론사 1977
시집 <이육사, 윤동주> 한국현대시문학대계 지식산업사 1980
시집<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정음사 1981
시집<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명지사 1982
시집<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정음사 1983
시집<윤동주 시집> 범우사 1984
시집<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동서문화사 1984
시집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와했다> 열음사 1984
시집 <별과 사랑과 시> 어문각 1985
시집<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문지사 1985
시집 <별헤는 밤> 어문각 1985
시집 <윤동주 시집> 마당문고사 1986
시집 <별헤는 밤> 자유문학사 1987
시집 <별헤는 밤> 인문출판사 1987
시집<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신라출판사 1987
시집 <별과 사랑의 시> 어문각 1987
시집<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덕우출판사 1987
시집<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한미 1987
시집 <새벽이 올 때까지> 융성출판사 1987
시집 <자화상> 청목사 1987
시집<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민중서적 1987
시집 <윤동주 시집> 범우사 1987
시집 <윤동주 시선> 일신서적공사 1989
시집 <새벽이 올 때 까지> 고려원 1989
시집<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오성출판사 1989
'詩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 성부 - 산경표 공부, 좋은 일이야, 벽소령 내음, 선 바위 드러누운 바위 (0) | 2008.03.15 |
---|---|
홍 수희- 사랑은 나에게, 기도, 내가 지금 눈물 흘리는 까닭은, 부치지 못 (0) | 2008.03.11 |
신 경림- 낙타, 즐거운 나의 집, 숨어있는 것들은 아름답다. (0) | 2008.03.09 |
이 성부-봄, 외로움 얻어 돌아오는 길 빛나거니,벼, (0) | 2008.03.02 |
강 은교 - 우리가 물이 되어, 사랑법, 바리데기의 여행노래, 너를 사랑한다 (0) | 2008.02.29 |